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GTX 노선의 장점과 단점

by 생꿀쪽쪽 2023. 4. 12.
반응형

전 국민이 아는 GTX(수도권 광역 급행철도) 굉장한 파급력을 가지고 있는데요. 현재 공사중인 노선과 계획만 나온 노선이 있습니다. 부동산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철도 노선으로 오늘은 장점과 단점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GTX 장점 단점 노선도 개통시기
GTX 장점 단점 노선도 개통시기

 

목차
GTX?
GTX의 장점
GTX의 단점
GTX 노선도 및 예상개통시기

 

 

반값아파트(공공분양 뉴홈) 총정리

반값아파트로 분양을 하는 공공분양 뉴홈이 23년 초부터 연일 뜨거운 인기를 실감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고양 창릉지구에 이어 강동구 고덕강일3단지까지 엄청난 경쟁률이 나왔습니다. 고덕강

honey-life-info.tistory.com

GTX?

서울과 경기도 인천 수도권의 주요 지역들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광역급행철도입니다. 우리는 GTX A,B,C 등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식 명칭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입니다. 일반적인 전철과는 다르게 보다 깊은 곳에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 수도권 내에서의 이동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됩니다. 

 

현재 노선은 GTX-A부터 GTX-D까지 알파벳 순으로 진행되는 중이며 GTX-A 노선이 가장 빠르게 개통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GTX의 장점

당연히 단점보다 장점이 훨씬 더 많은 철도사업입니다.

빠른 속도

- GTX는 설계상 최대 180km/h, 평균 80km/h의 속도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 서울 지하철 평균속도 = 40km/h

짧은 배차간격

- 1일 편도 기준 최대 120편성(GTX-B는 100편성)이 운행될 예정으로 짧은 배차간격을 가지며 높은 수송능력을 가집니다.

- 출퇴근 배차 평균 7.5분 / 평상시 10 ~ 15분

높은 수송인원

GTX는 8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1편성 운행 당 1천명 이상 탑승 가능하여 보다 높은 수송능력을 가졌습니다. 

※ 경전철 = 1편성 200명 이하

수도권 통합 환승 할인

수도권 대중교통 요금을 통합하여 대중교통 간 편리한 환승과 할인이 가능해집니다. 대중교통의 수단과 무관하게 이용거리에 비례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제도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GTX의 단점

장점에 비하면 감수할 수 있는 단점이지만 몇 가지 사실은 알고 있어야 합니다.

승강장까지의 거리 및 시간

GTX는 지하 40m 이상의 대심도로 설계되기 때문에 승강장까지의 거리로 인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배차 간격

배차 간격이 10분 이내로 짧다고는 하나 수도권의 일반 지하철보다는 긴 운행간격이 적용됩니다. 차후 승객들의 이용빈도와 밀도에 따라서 배차간격이 변동될 것으로 보입니다. 초창기에는 배차간격으로 인한 불편이 예상됩니다.

 

높은 비용

통합 환승 할인을 적용하더라도 높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요금 3천원(10km)에 추가 거리요금은 250원(5km)씩 책정될 예정이나 물가상승 등을 감안하면 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약 40km를 이동하면 약 4,500원 ~ 5,000원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GTX 노선도 및 예상 개통시기

GTX는 현재 A,B,C까지 확정된 상태이며, D노선은 아직 확정된 상태가 아니어서 24년정도에 D-E-F 노선이 도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GTX-A]

GTX-A노선은 24년 상반기 수서~동탄구간, 하반기 운정~서울역구간이 개통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2028년에 삼성역과의 연결로 전 구간 개통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일부개통만 되어도 상당히 큰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GTX-B]

GTX-B는 올 4월 강원도 춘천까지 연장여부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전체 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용산을 지나 남양주 마석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2024년 상반기 착공 후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GTX-C]

GTX-C는 경기 수원역에서 양주 덕정역까지 수도권의 남북을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약 74.8km의 구간입니다. 이번에 4,500억가량의 사업비가 증액되는데 이는 도봉산역 구간 지하화로 인한 비용입니다. GTX-C는 23년 착공을 할 예정이며, 2028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됩니다.

 

마치며

GTX는 수도권 교통의 핵심입니다. GTX가 A,B,C까지 개통이 되는 2030년정도면 수도권 내에서는 어디든 1시간 이내로 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 때가 되면 물리적인 직주근접 보다는 출퇴근 시간의 직주근접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게 될 것 같습니다. GTX가 만능은 아니지만 가장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GTX 이용이 편리한 곳들의 부동산은 가치가 더 높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댓글